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87

활막성 관절의 운동 종류(굴곡·신전·과신전·외전·내전·회외·회내·내번·외회전·내회전·해부학적 자세·요골·척골) 수동적 관절 범위 운동(경축 예방) 활막성 관절의 운동 종류(굴곡·신전·과신전·외전·내전·회외·회내·내번·외회전·내회전·해부학적 자세·요골·척골) 수동적 관절 범위 운동(경축 예방) 활막성 관절의 운동 종류 ○ 외전 사지가 인체의 정중선에서 멀어지는 것 예) 수동으로 어깨 외전 운동 시 팔꿈치와 손목을 잡고 몸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들어 올림 ○ 내전 외전의 반대 운동으로 사지가 인체의 중앙선으로 가까이 오는 것 해부학적 자세로 돌아오는 것 ○ 굴곡 두 골의 각이 감소하는 운동이며 서로 가까워지는 운동 예) 팔꿈치를 구부리고 허벅지를 복부에 가깝게 들어 올리고 종아리를 허벅지의 후면에 가깝게 구부리는 것 ○ 신전 굴곡의 반대로 두 골의 각이 증가하여 서로 멀어지는 운동 예) 구부렸던 팔, 허벅지, 무릎을 펴는 것 ○ 과신전 곧게 편 위치를.. 2022. 4. 2.
간호기록지 작성 규칙·방법·원칙·요령(수기 기록·전자 의무기록 장점·EMR·공식 약어·밤번 근무자·error)과 병원 화재 대피요령 간호기록지 작성 규칙·방법·원칙·요령(수기 기록·전자 의무기록 장점·EMR·공식 약어·밤번 근무자·error)과 병원 화재 대피요령 간호기록지는 환자 관찰 사항의 기록 보관, 의료킴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진단의 기초, 치료와 간호의 지침, 법률상·보험관계상의 증거 자료, 연구·통계 및 교육 자료로 이용된다. 간호기록지 작성 원칙 : 간호기록은 사실성, 정확성, 완결성, 동시성, 형식성, 보완성, 적시성, 간결성, 적합성의 원칙을 지켜야 함 ♣ 간호기록지의 수기 기록 규칙·방법·요령 모든 기록은(초번과 낮번) 잘 변하지 않도록 검정색이나 푸른색의 잉크를 이용 밤번 근무자는 붉은색 볼펜 사용 활자체로 단정하고 또박또박 쓰며 공식 약어를 사용하여 작성 기록 후 반드시 작성한 사람이 성명을 다 써서 서명 기록이.. 2022. 3. 31.
대사와 배설(생물학적 전환·해독작용·대사산물·지사제·하제) 약물작용에 영향을 주는 요소(모르핀·데메롤·쿠마딘·와파린·헤파린·저칼륨혈증·디기탈리스) 대사와 배설(생물학적 전환·해독작용·대사산물·지사제·하제) 약물작용에 영향을 주는 요소(모르핀·데메롤·쿠마딘·와파린·헤파린·저칼륨혈증·디기탈리스) ▣ 대사와 배설 해독작용 : 약물이 분산에 의해 상호작용하게 될 조직으로 이동하며 배설이 용이하도록 저활성 형태로 전환(생물학전 전환)되는 것을 말함 대사산물 : 대부분 간에서 세포 내의 약물 대사성 효소들이 약물을 분해하며 이 과정에서 생긴 산물 배설 : 대사산물과 약물이 체외로 배출되는 과정. 주로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 호흡, 발한, 침, 눈물 등으로 배출되기도 함 약 복용 시 신체에서 배설이 늦게 되는 약을 사용할 때는 축적작용에 유의. 예) 디곡신 ▣ 배설 관련 약물 지사제 : 설사 시 배설을 늦추는 약물로써 장기간 복용했을 때는 배설 장애(변비).. 2022. 3. 30.
약물 조제 형태(물약·시럽·로션·유제·현탁제·팅크제·주사제·가루약·캡슐·정제·연고·좌약) 약물 유형(대용제·강장제·화학요법·완화제·치료제) 약물 관리(혈청·예방백신) 약물 조제 형태(물약·시럽·로션·유제·현탁제·팅크제·주사제·가루약·캡슐·정제·연고·좌약) 약물 유형(대용제·강장제·화학요법·완화제·치료제) 약물 관리(혈청·예방백신) ▨ 약물 조제 형태 물약 : 약을 물에 녹인 것을 말함 시럽 : 약물을 설탕에 녹이거나 당류를 함유하는 의약품의 용액 또는 현탁액 등으로 만든 내복 액체 로션 : 수성액을 미세하게 분산시켜 피부에 바르는 것 유제 : 불용성인 약품을 미세 균등하게 분산시켜 유상으로 만든 것 현탁제·부유제 : 불용성인 약품을 수중에 미세 분말로 균등히 분산시킨 것 팅크제 : 생약을 에탄올·물의 혼액으로 침출 예) 옥도정기 주사제 : 사용할 때 녹이든가 또는 현탁으로 쓰는 의약품 가루약 : 1·2종 이상 의약품 가루를 균등히 혼합한 것 캡슐 : 분말, 과립, 액.. 2022. 3.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