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의 지식

구개파열·백혈병·화상·파상풍·뇌수종·뇌종양·흡인성 폐렴·홍역 아이·수두·수막구균성 수막염·장갑보호대·비말감염·팔꿈치보호대·이하선염·두피정맥·전염성 간염·호흡근 마비

by ◐▨※¿┫∮¤Ω 2022. 3. 12.

구개파열·백혈병·화상·파상풍·뇌수종·뇌종양·흡인성 폐렴·홍역 아이·수두·수막구균성 수막염·장갑보호대·비말감염·팔꿈치보호대·이하선염·두피정맥·전염성 간염·호흡근 마비

 

◐ 구개파열

  • 노리개 저꼭지(쪽쪽이) 등을 입에 물려주면 상처에 자극이 되고 빨대를 이용하여 물을 먹이면 수술 부위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하도록 함
  • 수유 시 약물 점적기를 사용하여 상처를 보호하도록 함
  • 구개파열이 심한 아동에게 가장 먼저 요구되는 간호 문제는 수유임

 

 

 

◐ 백혈병

  • 아동의 악성 종양 형태 중 2~6ㅔ 아동에게 가장 많이 발생함
  • 감염 예방에 최선을 다해야 하며, 고열량, 고단백식이를 하도록 함
  • 아스피린은 출혈의 위험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금해야 함

 

◐ 변비 간호 

  • 섬유질 섭취 및 수분 섭취를 보강
  • 정신적 긴장 해소

 

◐ 화상을 입은 아이 간호

  • 멸균된 홑이불을 덮어줌
  • 감염 및 쇼크 예방에 힘씀

 

◐ 파상풍 간호

  • 호흡 상태를 주의깊게 관찰
  • 방 안을 어둡게 해줌
  • 호흡근 마비를 방지

 

 

 

◐ 뇌수종·뇌종양으로 뇌압이 상승하는 영아의 간호

  • 봉합선 분리, 두위 증가 관찰
  • 두피정맥 확장 관찰
  • 팽팽하고 불룩한 천문의 관찰

 

◐ 흡인성 폐렴

  • 우유나 수분이 기도 내에 들어가서 생긴 폐질환

 

◐ 홍역 아이 간호

  • 비말감염에 의해 전파되므로 환자의 접촉에 주의
  • 유행 시 발생한 환자는 1주일간 학교, 직장으로부터 격리시킴
  • 예방을 위해 생백신을 접종
  • 환자 간호를 위해 병실에 들어갈 때는 마스크를 착용

 

◐ 수두 아이 환자 간호

  • 2차 감염 예방을 위해 긁지 않도록 손에 팔꿈치보호대나 장갑보호대를 해줌

 

☞ 입원한 어린이에게 안전하게 경구 투약하는 방법

  • 영유아는 점적기로 투약하는 것이 좋음
  • 쓴 약을 달다고 속이지 않으며 투약 후 칭찬을 해줌
  • 반드시 상체를 상승시키고 먹임

 

 

 

◐ 수막구균성 수막염 간호

  • 정의 : 수막구균성 수막염은 뇌막 내에 염증이 생긴 급성질환
  • 원인 : 세균성 혹은 무균성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대개는 그 원인이 바이러스이고 때로는 홍역, 이하선염 혹은 백혈병과 같은 질병이 속발하기도 함
  • 주의사항 : 뇌압이 상승할 경우 두위 증가, 두피정맥의 확장, 팽팽하고 불룩한 천문, 두개 봉합선의 분리, 구토 등을 특별히 잘 살펴 보아야 함
  • 수액 주입 시 준비물품 : 영아에게 두부 정맥으로 수액 주입을 할 때 준비 물품으로는 면도기, 수액세트, 두피정맥 나비 바늘 등이 필요함

 

※ 전염성 간염 아이 환자의 간호 시 유의사항

  • 수분 섭취를 증가시킴
  • 사용한 주삿바늘은 폐기
  • 식기는 분리하여 사용
  • 음식을 함께 먹지 않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