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의 지식

귀의 구조와 기능(외이도, 고막, 이소골, 중이관, 난원창, 정원창, 유양돌기, 전정, 달팽이관, 세반고리관, 청신경, 코르티기관) 질환(장액성 중이염, 메니에르병, 고막절개술)

by ◐▨※¿┫∮¤Ω 2022. 1. 29.

귀의 구조와 기능(외이도, 고막, 이소골, 중이관, 난원창, 정원창, 유양돌기, 전정, 달팽이관, 세반고리관, 청신경, 코르티기관) 질환(장액성 중이염, 메니에르병, 고막 절개술)

 

사람-귀-사진

 

귀의 구조와 기능

◐ 외이

  • 귓바퀴 : 소리를 모으는 역할
  • 외이도 : 음을 전달하는 곳
  • 고막 : 외부로부터 들어온 소리를 진동시켜 외이에서 이소골까지 음파를 전달, 중이를 외부로부터 보호

 

 

 

◐ 중이

  • 이소골 : 고막으로부터 공기 진동을 기계적 진동으로 바꾸어 내이로 전달
  • 중이관(유키타키오관, 이관) : 비인후와 중이를 연결하는 관, 고막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 평형을 조절하는 역할
  • 난원창과 정원창 : 음파를 내이로 전달, 내이에서 나오는 음파의 출구 역할
  • 유양돌기 : 중이가 압력 변화에 적응하게 함

 

◐ 내이

  • 전정 : 이소골의 진동이 전정의 외림프액에 전파
  • 달팽이관 : 청각을 수용하는 코르티기관이 있어 음파가 신경성 흥분으로 전환
  • 세반고리관(삼반규관) : 평형감각을 담당
  • 청신경 : 청각 신경과 평형 신경의 2시경으로 나뉨

 

 

 

※ 외이도 약물 점적법

º 외이도 약물 점적 시에는 외이도가 일직선이 되도록 실시. 성인은 후상방, 어린이는 후하방으로 귓바퀴를 잡아당기며 점적

º 귀 세척 약물의 온도는 체온과 같은 온도. 차거나 더운 온도는 내이를 자극하여 오심과 구토, 현훈의 원인임

º 침대 난간을 올려주어 어지러움증으로 인한 사고 대비

 

귀 관련 질환

▣ 장액성 중이염

  • 개념 : 급성이나 만성 상태로 중이 내에 장액 점액이 차 있는 상태
  • 증상 : 귀가 꽉 막히는 느낌, 청력 상실, 환자 자신의 음성이 부자연스럽게 공명됨
  • 치료 및 간호 : 중이관 팽창, 삼출액 흡입, 수술요법 예) 고막 절개술

 

 

 

▣ 메니에르병

개념 : 미로의 확장과 내림프의 양이 증가하여 발생하는 내이의 장애

원인 : 내림프의 장애, 바이러스성 감염, 스트레스

증상 : 오심, 구토가 있는 현훈, 이명, 감각신경성 난청, 균형 장애, 청력 감소

 

※ 귀 수술 환자의 간호 및 주의 사항

  • 침상 안정(24~48시간)을 취하고, 적합한 자세를 유지
  • 감염 증상을 세밀히 관찰, 머리를 갑자기 움직이지 X
  • 귀나 드레싱에 압박 금지, 침대 난간 설치
  • 조기 이상 후 보행 시 보호자 동반
  • 현훈감 증가 행동 피함,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함
  • 두통, 이명이 있으면 의료인에게 보고
  • 재채기나 기침, 코 풀기 금지, 식사는 미음(유동식)으로 제공
  • 감기 조심, 변비 예방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