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물질이 미치는 영향(황사, 미세먼지, 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 헤모글로빈, 오존층)
황사현상은 중국이나 몽골 등에서 작은 모래나 황토 또는 미세먼지가 하늘을 떠다니다가 상층 바람을 타고 멀리까지 날아가 떨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 태양빛 차단으로 시정 악화(가시거리 좁게)
- 식물의 기동을 닫아 광합성 방해
- 강물이나 토양을 중화시킴
- 빨래나 음식물에 침강
- 반도체 등 정밀기계 손상
- 호흡기 장애와 눈병 알레르기 발생
- 항공기 엔진 손상, 이착류 시 시정 악화로 사고 유발
* 대기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눈, 코 및 상기도 점막에 대해 먼저 감각적인 영향을 받아 생리적 가역적 반응
* 대기오염이 동물에 미치는 영향
- 양과 소는 불소 화합물에 예민.
- 불소가 축척된 목초 섭취 시 이가 손상.
- 플루린화수소가 뽕나무 잎에 부착하면 누에는 소화기 장애 일으킴.
* 대기오염이 식물에 미치는 영향
- 농작물이나 과실수, 유실수에 많은 피해.
▲ 대기오염 관리대책
- 배출시설의 대체 또는 폐쇄
- 배출원의 설치 지역 규제(배출량을 지역적으로 규제)
- 공정의 개선
* 3대 목표
① 건강장애의 방지
② 경제적 손실 방지
③ 미관 손상 방지(자연 손상 방지)
▲ 일산화탄소
- 무색, 무미, 무취.
- 헤모글로빈(혈색소)과의 결합력이 산소보다 210배 강하여 헤모글로빈의 산소 운반 능력을 박탈함
- 일산화탄소 노출로 인한 건강상의 장애는 산소 부족으로 인한 결과
- 일산화탄소 중독 시 먼저 신선한 공기를 제공(신선한 공기가 있는 장소로 옮김)
▲ 아황산가스(이산화황)
- 산성비를 내리게 하는 주요 원인
- 공기보다 무거워 지표에 가까운 대기층에 체류하며 대기를 오염시킴
- 인체, 동물, 식물 및 여러 종류의 기구에 피해 줌
- 인후통, 만성기침, 재채기 등 만성 기관지염과 폐렴의 증상, 간 장애, 빈혈, 치아우식증 등 일으킴
▲ 탄화수소와 광화학적 산화물
- 탄화수소는 일차 오염물질 - 메탄, 에틸렌, 벤젠, 톨루엔, 이소프렌
- 광화학적 산화물은 이차 오염물질 - 오존, 펜
* 인체에 미치는 영향
① 전신적 장애 ② 눈을 자극 ③ 비강, 후두 자극
④ 피로감 ⑤ 동작 장애
▲ 오존
- 3개의 산소 원자가 결합.
- 무색, 무취, 자극적 냄새 없음.
- 공기보다 조금 무겁고 자외선이 많은 고산, 해안, 산림 등의 공기 중에 있음.
- 다량으로 있을 때 오히려 불쾌감.
- 여름에 고농도의 오존 발생.
- 건강한 사람도 오존에 노출되면 호흡 곤란 경험.
- 보통 더운 기후에 형성되기 때문에 여름에 바깥에서 시간 보내는 사람 영향 받음.
반응형
'일상의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질오염지표의 생화학적·화학적·용존산소(BOD, COD, DO, 플랑크톤, 대장균) (0) | 2022.01.08 |
---|---|
물의 자정작용과 정화법·화학적 소독법, 수질오염(밀스-라인케현상, 염소소독, 대장균, 수원, 장염, 유리잔류염소) (0) | 2022.01.08 |
공기의 자정작용과 실내·대기오염물질(새집증후군, 폐암원인, 군집독, 온실효과, 지구온난화, 엘니뇨, 산성비) (0) | 2022.01.07 |
[주택 최적 요건]②주거환경-적정 실내온도, 중앙지역난방, 냉방병, 레노증후군, 레지오넬라증 (0) | 2022.01.07 |
[주택 최적 요건]①주거환경-남동향, 인공조명, 간접조명, 일조량 (0) | 2022.0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