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의 지식

대기오염물질이 미치는 영향(황사, 미세먼지, 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 헤모글로빈, 오존층)

by ◐▨※¿┫∮¤Ω 2022. 1. 8.

대기오염물질이 미치는 영향(황사, 미세먼지, 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 헤모글로빈, 오존층)

황사현상은 중국이나 몽골 등에서 작은 모래나 황토 또는 미세먼지가 하늘을 떠다니다가 상층 바람을 타고 멀리까지 날아가 떨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대기오염물질이-사람에게-미치는-영향을 보여주는-사진
미세먼지가 뒤덮인 사람동상

 

  • 태양빛 차단으로 시정 악화(가시거리 좁게)
  • 식물의 기동을 닫아 광합성 방해
  • 강물이나 토양을 중화시킴
  • 빨래나 음식물에 침강
  • 반도체 등 정밀기계 손상
  • 호흡기 장애와 눈병 알레르기 발생
  • 항공기 엔진 손상, 이착류 시 시정 악화로 사고 유발

 

 

 

 

* 대기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눈, 코 및 상기도 점막에 대해 먼저 감각적인 영향을 받아 생리적 가역적 반응

* 대기오염이 동물에 미치는 영향

  - 양과 소는 불소 화합물에 예민.

  - 불소가 축척된 목초 섭취 시 이가 손상.

  - 플루린화수소가 뽕나무 잎에 부착하면 누에는 소화기 장애 일으킴.

* 대기오염이 식물에 미치는 영향

  - 농작물이나 과실수, 유실수에 많은 피해.

 

 

 

 

▲ 대기오염 관리대책

  • 배출시설의 대체 또는 폐쇄
  • 배출원의 설치 지역 규제(배출량을 지역적으로 규제)
  • 공정의 개선

* 3대 목표

① 건강장애의 방지

② 경제적 손실 방지

③ 미관 손상 방지(자연 손상 방지)

 

 일산화탄소

  • 무색, 무미, 무취.
  • 헤모글로빈(혈색소)과의 결합력이 산소보다 210배 강하여 헤모글로빈의 산소 운반 능력을 박탈함
  • 일산화탄소 노출로 인한 건강상의 장애는 산소 부족으로 인한 결과
  • 일산화탄소 중독 시 먼저 신선한 공기를 제공(신선한 공기가 있는 장소로 옮김)

 아황산가스(이산화황)

  • 산성비를 내리게 하는 주요 원인
  • 공기보다 무거워 지표에 가까운 대기층에 체류하며 대기를 오염시킴
  • 인체, 동물, 식물 및 여러 종류의 기구에 피해 줌
  • 인후통, 만성기침, 재채기 등 만성 기관지염과 폐렴의 증상, 간 장애, 빈혈, 치아우식증 등 일으킴

 

 

 

 

 탄화수소와 광화학적 산화물

  • 탄화수소는 일차 오염물질 - 메탄, 에틸렌, 벤젠, 톨루엔, 이소프렌
  • 광화학적 산화물은 이차 오염물질 - 오존, 펜

* 인체에 미치는 영향

① 전신적 장애   ② 눈을 자극   ③ 비강, 후두 자극

④ 피로감    ⑤ 동작 장애

 

 오존

  • 3개의 산소 원자가 결합.
  • 무색, 무취, 자극적 냄새 없음.
  • 공기보다 조금 무겁고 자외선이 많은 고산, 해안, 산림 등의 공기 중에 있음.
  • 다량으로 있을 때 오히려 불쾌감.
  • 여름에 고농도의 오존 발생.
  • 건강한 사람도 오존에 노출되면 호흡 곤란 경험.
  • 보통 더운 기후에 형성되기 때문에 여름에 바깥에서 시간 보내는 사람 영향 받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