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영아·소아의 심폐소생술 방법과 자동심장충격기(흉부 압박·가슴압박·인공호흡·기도 유지·심정지·무호흡·심장 발작·자동차 사고·빗장뼈·쇄골·심장 리듬·응급의료 상담원)
심폐소생술과 자동심장충격기
º 성인의 심폐소생술(일반인이 발견한 경우)
- 환자의 반응 확인→흉부 압박→심장충격기
º 영아·소아의 심폐소생술(일반인이 발견한 경우)
- 환자의 반응 확인→흉부 압박→기도 개방→인공호흡→심장충격기
- 영아·소아의 경우 모두 흉부 압박을 30회 실시한 후 인공호흡을 2회 실시(흉부 압박 : 인공호흡 = 30 : 2)
성인·영아·소아의 심폐소생술 방법
◐ 성인(8세 이상)
- 심정지의 확인 : 무반응, 무호흡·심정지 호흡, 10초 이내 확인된 무맥박(의료 제공자만 해당)
- 심폐소생술 순서 : 가슴압박→기도 유지→인공호흡
- 가슴압박 속도 : 분당 100~120회
- 가슴압박 깊이 : 약 5cm
- 가슴 이완 : 가슴압박 사이에는 완전한 가슴 이완
- 가슴압박 중단 : 가슴압박의 중단은 최소화(불가피한 중단은 10초 이내)
- 기도 유지 : 머리 기울임→턱 들어 올리기
- 가슴압박 대 인공호흡 비율 : 전문 기도 확보 이전(30 : 2) / 전문 기도 확보 이후(가슴압박과 상관없이 6초마다 인공호흡)
- 일반인 구조자 : 가슴압박 소생술
◐ 영아(0~1세)·소아(2~7세)
- 심정지의 확인 : 무반응, 무호흡·심정지 호흡, 10초 이내 확인된 무맥박(의료 제공자만 해당)
- 심폐소생술 순서 : 가슴압박→기도 유지→인공호흡
- 가슴압박 속도 : 분당 100~120회
- 가슴압박 깊이 : 영아 (가슴 두께의 최소 1/3 이상-약 4cm) / 소아 (가슴 두께의 최소 1/3 이상-약 4~5cm)
- 가슴 이완 : 가슴압박 사이에는 완전한 가슴 이완
- 가슴압박 중단 : 가슴압박의 중단은 최소화(불가피한 중단은 10초 이내)
- 기도 유지 : 머리 기울임→턱 들어 올리기
- 가슴압박 대 인공호흡 비율 : 전문 기도 확보 이전 (1인 구조자- 30 : 2), (2인 구조자, 의료 제공자만 해당- 15 : 2) / 전문 기도 확보 이후(가슴압박과 상관없이 6초마다 인공호흡)
- 일반인 구조자 : 심폐소생술
자동심장충격기
- 자동심장충격기는 심장의 기능이 정지하거나 호흡이 멈추었을 때 사용하는 응급처치 기기
- 사용 단계 : 전원 켜기→전극 패드 부착→심장 리듬 분석→심장충격 시행→즉시 심폐소생술 다시 시행
- 패드 1은 오른쪽 빗장뼈(쇄골) 바로 아래에 부착하고, 패드 2는 왼쪽 가슴 아래 중간 겨드랑이 선에 부착함
- 심장 리듬을 분석할 때 "모두 물러나세요."라고 외침
- 분석 중이라는 음성 지시가 나오면 심폐소생술을 멈추고 대상자에게서 손을 뗌
★ 심정지 환자에 대한 119 신고 시 응급의료 상담원에게 알려 주어야 할 내용
- 환자의 상태
- 도움이 필요한 환자의 수
- 응급 상황의 내용(심장 발작, 자동차 사고 등)
- 응급 상황이 발생한 위치(가능하면 사무실 이름, 방의 호수, 도로나 거리 이름)
- 환자에게 시행한 응급처치 내용(심폐소생술, 자동심장충격기 사용 등)
- 다른 질문이 없는지 확인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