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 골절 특징 및 부목의 사용 이유(쇄골·대퇴골·상지·척추·고관절·골반·주관절·하악골·두개골·비골 골절·삼각건·사두붕대·지압법·탈구·염좌·강직·경추 손상·얼음찜질)
골절의 의한 응급처치
▣ 부목의 사용 이유
- 골절 환자를 옮기기 전에 움직이지 않게 하거나 부목을 대는 이유는 복합 골절을 예방하기 위함
▣ 부목의 사용 목적
- 척추 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에게는 가장 우선적으로 부목을 대고 고정·지지해줌
- 부러진 뼈를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
- 부러진 뼈에 의한 신경 자극을 줄여 통증 유발을 감소시킴
- 근육, 신경, 혈관 등이 더 이상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
▣ 복합 골절 특징
- 관절이나 동맥에 손상을 입은 골절을 말함
- 골절 부위의 길이가 짧아지고 출혈과 충격이 심함
▣ 골절의 종류
- 쇄골 골절 : 삼각건 사용
- 대퇴골 골절 : 긴 부목 사용
- 상지 골절 : 삼각건 사용
- 척추 골절 : 처치하지 않고 구조를 요청함
- 고관절 골절 : 삼각건을 이용해 부목과 다리를 고정시킴
- 골반 골절 : 전신 부목을 대고 병원으로 후송함
- 주관절 골절 : 견인하거나 반듯하게 펴려고 하지 말고 부목을 사용
- 하악골 골절 : 머리 자체를 부목으로 사용함
- 두개골 골절 : 머리와 어깨를 약간 높임
- 비골 골절 : 부목을 대지 않고 코 창상이 있으면 소독된 거즈를 대고 사두붕대를 매어서 병원으로 이송함
▣ 골절 시 일반적인 응급처치
- 교통사고로 골절 환자 발생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출혈 여부를 확인하고 움직이기 전에 부목을 대어줌
- 다친 곳은 건드리거나 함부로 옮기지 않음
- 부목을 사용하기 전에 드레싱을 하여 감염을 방지함
- 골절 부위에 출혈이 있으면 직접 압박이나 지압법을 사용해 출혈을 방지함
- 부러진 뼈는 움직이기 전에 부목을 사용
- 부목을 사용하기 전과 후에 부상 부위의 사지 맥박을 점검함
▣ 하지 골절 환자 병원 이송 시 환부를 고정하는 이유
-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함
- 골절 부위의 연조직 손상을 예방하기 위함
- 복합 골절을 예방하기 위함
▣ 견인하고 있는 경추 손상 환자에 대한 간호
- 욕창 예방, 섬유질과 수분 섭취로 변비 예방
- 핀이 꽂힌 부위에 대한 관찰과 부분적 관리
◎ 탈구
- 뼈가 관절에서 빠진 상태를 말함
- 즉각 처치가 중요하고 부목과 패드를 대어 빨리 의료기관으로 후송함
◎ 염좌
- 뼈에는 이상이 없으며 뼈를 지지하는 인대 등이 늘어난 상태
- 발목이 삐었을 때는 환부를 고정한 후 체중을 부가하지 않도록 함
- 다리를 상승시켜 주고 얼음찜질을 해줌
◎ 강직
- 매우 심한 활동에 의해 근육 및 조직이 굳고 손상을 입은 것을 말함
- 근육을 안정시켜 주고 더운물 찜질로 보온해 주며 마사지를 해주도록 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