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신경계(교감·부교감신경, 동공, 눈물샘, 섬모체 근육, 소화 분비샘, 기관지, 침샘, 땀샘, 소화관 연동운동, 심장박동, 배뇨 억제·촉진)와 의식 수준의 분류(명료, 기면, 찬란, 혼돈, 혼미, 반혼수, 혼수)
신경계는 신체활동을 통제하고 조정하는 기본적인 업무를 담당하며 말초 자극 수용기에서 전달된 자극을 중추신경계로 보내고 여기서 나오는 명령을 다시 각 운동기로 전달한다.
자율신경계 :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대개의 경우 서로 길항적인 기능을 가짐
◐ 교감신경 : 신체가 갑작스럽고 심한 운동이나 공포, 분노와 같은 위급한 상황에 대비하고 반응하게 함
◐ 부교감신경 : 위장관의 분비와 연동운동을 촉진함으로써 소화와 흡수를 촉진하는 것과 같이 에너지를 절약하고 저장하는 작용을 수행
◐ 교감신경
- 동공 : 확장
- 눈물샘 : 분비 억제나 정상
- 섬모체 근육 : 이완(멀리 봄)
- 침샘 : 분비 억제
- 땀샘 : 분비 촉진
- 털세움 : 수축(털세움)
- 소화 분비샘 : 분비 억제
- 소화과 연동운동 : 억제
- 심장박동 : 촉진(빨라짐)
- 기관지 : 확장
- 방광 : 이완(배뇨 억제)
- 조임근 : 수축
- 혈관 : 수축(피부, 내장)
◐ 부교감신경
- 동공 : 수축
- 눈물샘 : 분비 촉진
- 섬모체 근육 : 수축(가까이 봄)
- 침샘 : 분비 촉진(물 같은 침 분비)
- 소화 분비샘 : 분비 촉진
- 소화과 연동운동 : 촉진
- 심장박동 : 억제(느려짐)
- 기관지 : 수축
- 방광 : 수축(배뇨 촉진)
- 조임근 : 이완
- 혈관 : 확장(침샘)
의식 수준의 분류
ª 명료 : 자신을 인지하고 환경에 반응하는 등 깨어 있는 상태
ª 졸린 상태(기면) : 소리를 지르면 눈을 떴다가 그냥 두면 잠드는 상태
ª 착란(혼돈) : 반응이 느리고 판단과 의사결정에 장애가 있음, 경한 의식장애로 기본적 반사, 단순한 지적 기능은 정상이나 지남력에 장애가 있는 상태
ª 혼미 : 간단한 질문에는 대답을 하나 대화를 지속하지 못하는 상태, 강한 자극이나 통증 자극에 깨어나며 큰소리 자극에만 반응함
ª 반혼수 : 스스로 어떤 동작도 하지 않으며 아픈 자극을 주었을 때만 반사적으로 움직임
ª 혼수 : 어떠한 자극에도 각성하지 않는 상태, 외부에 대하여 완전히 반응이 없는 상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