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의 지식

비경구투약 피하·근육·피내·정맥주사 주의사항 및 합병증(예방주사, 인슐린, 헤파린, 둔근, 좌골신경, 투베르쿨린·알레르기·약물과민반응검사, BCG, 과수화, 정맥염, 혈전, 색전증, IV·IM·ID·..

by ◐▨※¿┫∮¤Ω 2022. 1. 25.

비경구 투약 피하·근육·피내·정맥주사 주의사항 및 합병증(예방주사, 인슐린, 헤파린, 둔근, 좌골신경, 투베르쿨린·알레르기·약물 과민반응 검사, BCG, 과수화, 정맥염, 혈전, 색전증, IV·IM·ID·SC·AST검사)

 

혈당기-주사기-알약-사진

 

 산소마스크로 산소를 투여 중인 환자나 유동식 섭취 환자에게는 경구투약이 가능하지만 금식 환자, 무의식 환자, 구토 환자, 연하곤란 환자에게는 경구 투약해서는 안된다.

약물을 투여 전 입원 카드나 ID밴드(팔찌)를 확인하거나 환자가 자신의 이름을 스스로 말하도록 대상자의 이름을 물어보아 확인해야 한다.

 

 

 

 

피하주사(SC)
  • 목적 : 예방주사, 인슐린, 헤파린 주사에 사용하고 소화효소로 약의 작용을 파괴하거나 반대 작용을 일으킬 염려가 있을 때 피하로 주사하며 2cc를 초과하지 않아야 함
  • 주의 사항 : 헤파린, 인슐린 주사 후 비비지 말고 살며시 눌러 줌
  • 주사 부위 : 상지의 외측, 대퇴의 앞쪽, 복부 등의 견갑골 부위

 

근육주사(IM)
  • 목적 : 피하주사보다 혈관 분포가 더 많아 약의 빠른 흡수 효과를 얻기 위함

◐ 특징 

  • 둔부 근육주사 시 좌골 신경과 혈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
  • 근육주사 후 주사부위를 문지르는 이유는 흡수를 돕기 위함
  • 근육주사 시 주사기 내관을 약간 뽑아 본 후 약물을 주입하는 이유 : 주삿바늘이 혈관에 들어갔는지 확인
  • 근육주사 부위 : 외측광근, 둔부의 복면, 삼각근 부위
  • 둔근이 근육주사 부위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이유 : 둔근은 근육주사 부위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근육이 커서 반복 주사할 수 있고 신경과 혈관의 분포가 많으며 혈액순환에 자극을 주어 약의 흡수가 잘 되기 때문

 

 

 

  • 근육주사 시 주의해야 할 부위 : 좌골신경, 혈관, 힘줄 뼈
  • 근육주사의 합병증 : 농양, 신경 손상(좌골신경), 조직의 괴사, 감염, 혈관 손상, 국소 압통, 혈종

 

 근육주사의 통증을 줄이기 위한 방법

  • 약물은 가능한 한 서서히 주입
  • 주사침은 빨리 찌르고 빠르게 뽑음
  • 약물을 뽑은 주사기의 침은 새것으로 교환
  • 반흔 조직이 없는 부위에 주사, 충분히 문질러 줌
  • 주사 후 통증이나 단단함은 더운물 주머니를 대어 완화

 

피내주사(ID)

 특징 

  • 상피 밑의 피부층에 약물을 주입하는 것
  • 투베르쿨린 반응이나 알레르기 반응 등 질병의 진단 또는 약물의 과민 반응 검사(AST 검사)
  • BCG 주사 시 사용함
  • 인슐린 주사 시 금지

 

 

  • 주사 부위 : 전완의 내측면을 가장 많이 이용 예) 상완의 외측면, 흉곽의 상부, 견갑골 아래
  • 주의 사항 : 주사한 부위를 문지르지 말기

 

정맥주사(IV)
  • 즉시 혈액에 섞여서 효력이 가장 빨리 나타나는 약물 투여 방법
  • 말초에서 신체 중심 방향으로 삽입
  • 주사 제거 후 문지르지 말기
  • 목적 : 수혈 및 환자가 구강 섭취가 불가능할 때 영양분,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하기 위함
  • 정맥주사 주입 시 관찰 사항 : 체액과 수액 과잉 부담, 정맥염, 주변 피하조직 손상, 빠른 부작용 관찰
  • 정맥주사의 합병증 : 정맥주사 시 염증 예방을 위해 말초 혈관에 삽입한 캐뉼라는 72시간마다 삽입 부위를 바꾸어 주도록 함

 

 

  • 염증 증상 : 주사 부위의 동통, 발적, 팽윤, 발열
  • 침윤 증상 : 주입이 안됨, 불쾌감, 부종, 차가움 등
  • 정맥염 : 정맥의 경결, 주사 맞는 정맥을 따라 발적 및 통증
  • 혈전이나 색전증 : 정맥염과 비슷한 정맥의 변화, 주입이 안됨
  • 수분 과다(과수화) : 호흡곤란, 혈압상승, 호흡 상승, 부종

※ 주의사항 : 다음과 같은 사항이 발생하면 즉시 간호사에게 알림

º 수액이 주입되지 않을 때

º 수액이 거의 다 들어갔을 때

º 조직에 부종이 생겼을 때

º 혈액이 역류될 때

º 부작용 증상이 나타날 때

º 주사 맞은 부위에 통증 및 염증이 있을 때

º 정맥으로 약물 주입 시 IV세트 내 공기를 배출시키는 이유 : 공기로 인한 색전증을 예방하기 위함

 

※ 약물의 효과 순서 : 정맥(IV) → 근육(IM) → 피하(SC) → 경구(PO)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