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의 지식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 필요성·목적·특성(정신질환자·사회복귀·질병예방·안전사회·사회통합) 간호사업 우선순위(영유아 사망·모성건강·만성질환·학동기 아동·청년기)

by ◐▨※¿┫∮¤Ω 2022. 2. 8.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 필요성·목적·특성(정신질환자·사회복귀·질병예방·안전사회·사회통합) 간호사업 우선순위(영유아 사망·모성건강·만성질환·학동기 아동·청년기)

 

 정신질환의 예방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 및 사회복귀 국민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해 제정된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의 이념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되는 일련의 사업을 말한다.

 

▧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의 필요성

  • 정신질환에 대한 경제적 부담 증가
  • 정신건강증진사업에 질병 예방과 건강 증진이 필요
  • 퇴원 후 사회복귀를 위한 준비 요구
  • 입원 가능한 병상 수에 비해 환자수가 많음
  • 현대사회는 과도한 스트레스로 정신질환 유병률 증가

 

 

 

▧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의 목적

  • 자살 위험이 없는 안전사회 구현
  • 중증 정신질환자의 사회통합 촉진과 삶의 질 향상
  • 정신질환에 조기 개입하여 정신건강 증진 도모
  • 정신건강 및 정신질환에 대한 국민의 인식 개선

 

 

 

▧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의 특성

  • 치료 및 예방과 정신건강 증진을 포함한 포괄적인 서비스 제공
  • 여러 전문 인력 간의 팀 접근을 함
  •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책임을 가짐
  • 환자의 가정과 가까운 곳에서 진료함
  • 치료의 지속성을 유지하며 지역 주민의 참여 조장
  • 대상자에게 맞는 개별적 맞춤형 프로그램 실시
  • 정신건강증진사업의 평가와 연구를 함
  • 정신건강에 관련 자문을 받음

 

 

 

☆ 지역사회 간호사업 우선순위 결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많은 수의 지역주민에게 영향을 주는 문제

¡ 영유아 사망에 원인이 되는 문제

¡ 모성건강에 영향을 주는 문제

¡ 만성질환이나 불구, 지역사회 개발에 영향을 주는 문제

¡ 학동기 아동 및 청년기에 영향을 주는 문제

 

☆ 지역사회 간호사업 우선순위 결정의 기준

¡ 지역사회 건강문제에 대한 지역사회 주민의 인식 정도

¡ 건강문제를 해결하려는 지역사회의 동기 수준

¡ 건강문제 해결에 필요한 적절한 전문가의 유용성

¡ 건강문제 해결이 안 될 때 후속적으로 생길 결과의 심각성

¡ 건강문제 해결에 걸리는 시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