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 필요성·목적·특성(정신질환자·사회복귀·질병예방·안전사회·사회통합) 간호사업 우선순위(영유아 사망·모성건강·만성질환·학동기 아동·청년기)
정신질환의 예방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 및 사회복귀 국민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해 제정된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의 이념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되는 일련의 사업을 말한다.
▧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의 필요성
- 정신질환에 대한 경제적 부담 증가
- 정신건강증진사업에 질병 예방과 건강 증진이 필요
- 퇴원 후 사회복귀를 위한 준비 요구
- 입원 가능한 병상 수에 비해 환자수가 많음
- 현대사회는 과도한 스트레스로 정신질환 유병률 증가
▧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의 목적
- 자살 위험이 없는 안전사회 구현
- 중증 정신질환자의 사회통합 촉진과 삶의 질 향상
- 정신질환에 조기 개입하여 정신건강 증진 도모
- 정신건강 및 정신질환에 대한 국민의 인식 개선
▧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의 특성
- 치료 및 예방과 정신건강 증진을 포함한 포괄적인 서비스 제공
- 여러 전문 인력 간의 팀 접근을 함
-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책임을 가짐
- 환자의 가정과 가까운 곳에서 진료함
- 치료의 지속성을 유지하며 지역 주민의 참여 조장
- 대상자에게 맞는 개별적 맞춤형 프로그램 실시
- 정신건강증진사업의 평가와 연구를 함
- 정신건강에 관련 자문을 받음
☆ 지역사회 간호사업 우선순위 결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많은 수의 지역주민에게 영향을 주는 문제
¡ 영유아 사망에 원인이 되는 문제
¡ 모성건강에 영향을 주는 문제
¡ 만성질환이나 불구, 지역사회 개발에 영향을 주는 문제
¡ 학동기 아동 및 청년기에 영향을 주는 문제
☆ 지역사회 간호사업 우선순위 결정의 기준
¡ 지역사회 건강문제에 대한 지역사회 주민의 인식 정도
¡ 건강문제를 해결하려는 지역사회의 동기 수준
¡ 건강문제 해결에 필요한 적절한 전문가의 유용성
¡ 건강문제 해결이 안 될 때 후속적으로 생길 결과의 심각성
¡ 건강문제 해결에 걸리는 시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