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상의 지식124

대사와 배설(생물학적 전환·해독작용·대사산물·지사제·하제) 약물작용에 영향을 주는 요소(모르핀·데메롤·쿠마딘·와파린·헤파린·저칼륨혈증·디기탈리스) 대사와 배설(생물학적 전환·해독작용·대사산물·지사제·하제) 약물작용에 영향을 주는 요소(모르핀·데메롤·쿠마딘·와파린·헤파린·저칼륨혈증·디기탈리스) ▣ 대사와 배설 해독작용 : 약물이 분산에 의해 상호작용하게 될 조직으로 이동하며 배설이 용이하도록 저활성 형태로 전환(생물학전 전환)되는 것을 말함 대사산물 : 대부분 간에서 세포 내의 약물 대사성 효소들이 약물을 분해하며 이 과정에서 생긴 산물 배설 : 대사산물과 약물이 체외로 배출되는 과정. 주로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 호흡, 발한, 침, 눈물 등으로 배출되기도 함 약 복용 시 신체에서 배설이 늦게 되는 약을 사용할 때는 축적작용에 유의. 예) 디곡신 ▣ 배설 관련 약물 지사제 : 설사 시 배설을 늦추는 약물로써 장기간 복용했을 때는 배설 장애(변비).. 2022. 3. 30.
약물 조제 형태(물약·시럽·로션·유제·현탁제·팅크제·주사제·가루약·캡슐·정제·연고·좌약) 약물 유형(대용제·강장제·화학요법·완화제·치료제) 약물 관리(혈청·예방백신) 약물 조제 형태(물약·시럽·로션·유제·현탁제·팅크제·주사제·가루약·캡슐·정제·연고·좌약) 약물 유형(대용제·강장제·화학요법·완화제·치료제) 약물 관리(혈청·예방백신) ▨ 약물 조제 형태 물약 : 약을 물에 녹인 것을 말함 시럽 : 약물을 설탕에 녹이거나 당류를 함유하는 의약품의 용액 또는 현탁액 등으로 만든 내복 액체 로션 : 수성액을 미세하게 분산시켜 피부에 바르는 것 유제 : 불용성인 약품을 미세 균등하게 분산시켜 유상으로 만든 것 현탁제·부유제 : 불용성인 약품을 수중에 미세 분말로 균등히 분산시킨 것 팅크제 : 생약을 에탄올·물의 혼액으로 침출 예) 옥도정기 주사제 : 사용할 때 녹이든가 또는 현탁으로 쓰는 의약품 가루약 : 1·2종 이상 의약품 가루를 균등히 혼합한 것 캡슐 : 분말, 과립, 액.. 2022. 3. 29.
성인·영아·소아의 심폐소생술 방법과 자동심장충격기(흉부 압박·가슴압박·인공호흡·기도 유지·심정지·무호흡·심장 발작·자동차 사고·빗장뼈·쇄골·심장 리듬·응급의료 상담원) 성인·영아·소아의 심폐소생술 방법과 자동심장충격기(흉부 압박·가슴압박·인공호흡·기도 유지·심정지·무호흡·심장 발작·자동차 사고·빗장뼈·쇄골·심장 리듬·응급의료 상담원) 심폐소생술과 자동심장충격기 º 성인의 심폐소생술(일반인이 발견한 경우) 환자의 반응 확인→흉부 압박→심장충격기 º 영아·소아의 심폐소생술(일반인이 발견한 경우) 환자의 반응 확인→흉부 압박→기도 개방→인공호흡→심장충격기 영아·소아의 경우 모두 흉부 압박을 30회 실시한 후 인공호흡을 2회 실시(흉부 압박 : 인공호흡 = 30 : 2) 성인·영아·소아의 심폐소생술 방법 ◐ 성인(8세 이상) 심정지의 확인 : 무반응, 무호흡·심정지 호흡, 10초 이내 확인된 무맥박(의료 제공자만 해당) 심폐소생술 순서 : 가슴압박→기도 유지→인공호흡 가슴압박.. 2022. 3. 26.
복합 골절 특징 및 부목의 사용 이유(쇄골·대퇴골·상지·척추·고관절·골반·주관절·하악골·두개골·비골 골절·삼각건·사두붕대·지압법·탈구·염좌·강직·경추 손상·얼음찜질) 복합 골절 특징 및 부목의 사용 이유(쇄골·대퇴골·상지·척추·고관절·골반·주관절·하악골·두개골·비골 골절·삼각건·사두붕대·지압법·탈구·염좌·강직·경추 손상·얼음찜질) 골절의 의한 응급처치 ▣ 부목의 사용 이유 골절 환자를 옮기기 전에 움직이지 않게 하거나 부목을 대는 이유는 복합 골절을 예방하기 위함 ▣ 부목의 사용 목적 척추 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에게는 가장 우선적으로 부목을 대고 고정·지지해줌 부러진 뼈를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 부러진 뼈에 의한 신경 자극을 줄여 통증 유발을 감소시킴 근육, 신경, 혈관 등이 더 이상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 ▣ 복합 골절 특징 관절이나 동맥에 손상을 입은 골절을 말함 골절 부위의 길이가 짧아지고 출혈과 충격이 심함 ▣ 골절의 종류 쇄골 골절 : 삼각건 사용 대퇴골 골.. 2022. 3.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