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의 지식

산소호흡기 비강카테터·캐뉼라 산소·단순안면·벤추리·부분재호흡·비재호흡마스크 저산소증 동맥혈가스분압(ABGA) 청색증 빈맥 부정맥 호흡곤란 기관지확장

by ◐▨※¿┫∮¤Ω 2022. 1. 21.

산소호흡기, 비강 카테터·캐뉼라, 산소·단순안면·벤추리·부분재호흡·비재호흡마스크, 저산소증, 동맥혈 가스 분압(ABGA), 청색증, 빈맥, 부정맥, 호흡곤란, 기관지 확장

 

산소호흡기-표지판
산소호흡기-표지판

 

산소호흡기는 혈중 저산소증을 치료하고 동맥 혈중 산소 분압을 90~100mmHg로 유지하기 위함이며 안전을 위해서 폭발성, 인화성이 있는 물건의 반입을 금한다.

 

산소투여 방법

▨ 비강 카테터 

대상자의 비공(콧구멍)을 자극하고 삽입할 때 불편하기 때문에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약 50% 농도의 산소를 단기간 투여하기 위해 사용

수용성 젤을 발라 피부와 닿는 곳에 상처 예방

음식 섭취 중에도 사용 가능

산소를 위 내로 잘못 공급할 가능성 있음

 

 

▨ 비강 캐뉼라 

  • 대상자에게 적용하기 쉽고 대상자가 말하고 먹을 수 있어 편안해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
  • 저농도 투여에 효과적임
  • 음식 섭취 중에도 사용 가능
  • 비강 점막의 자극과 건조 상태를 유발→적어도 8시간마다 배관을 제거하고 위생 관리
  • 외비공의 자극이나 출혈 유무 확인
  • 환자에게 입을 다물고 코로 숨을 쉬도록 격려

 

 

▨ 단순 안면 마스크 : 캐뉼라보다 고농도의 산소공급

▨ 벤추리 마스크 : 정확한 산소 농도 유지 가능

▨ 부분 재호흡 마스크 : 낮은 유량에서 산소 농도 증가 가능, 이산화탄소의 과량 흡입을 막기 위해 저장백이 완전히 수축하면 안 됨

▨ 비 재호흡 마스크(산소마스크) : 가장 효과적인 산소 투여 방법, 100%에 가깝게 산소를 투여할 수 있어 비강 캐뉼라보다 고농도의 산소 투여 가능

* 마스크→ 코와 입 주변 피부 자극 가능성↑

 

※ 정상적인 동맥혈 가스 분압의 결과(ABGA)

- 보통 2.5mL의 혈액이면 충분히 검사, 채혈 즉시 얼음 상자에 넣어 검사실

<의사보고 사항 범위>

pH(7.35~7.45), PaO2(80~100mmHg), PaCO2(35~45mmHg), HCO3(22~26 mEq/L)

산혈증(7.35 이하), 알칼리혈증(7.45 이상)

호흡성 산증(PaCO2 45mmHg 이상), 호흡성 알칼리증(PaCO2 35mmHg 이하)

대사성 산증(HCO3 22 mEq/L 이하), 대사성 알칼리증 (HCO3 26 mEq/L 이상)

 

 

 

저산소증 주요 증상
  • 활동량 저하
  • 차고 축축한 피부
  • 비강 기관지 확장
  • 심장의 부정맥, 혈압 상승
  • 집중 능력 및 의식 수준의 감소
  • 혈액 내의 부적당한 가스 교환으로 인한 청색증
  • 맥박수의 증가(빈맥)
  • 흉골하의 함몰과 늑간의 퇴축
  • 호흡의 깊이와 수의 증가
  • 호흡곤란(과다하고 빠른 호흡)
  • 근심, 불안감과 안절부절못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