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의 지식

선천성 대사이상 질환과 초자양막증, 미숙아 망막증(아동간호 기출문제 2편)

by ◐▨※¿┫∮¤Ω 2021. 12. 27.

선천성 대사이상 질환과 초자양막증, 미숙아 망막증(아동간호 기출문제 2편)

 

선천성 대사질환의 진단은 조기 진단을 위해 신생아 시기에 선별 검사를 시행한다.(국가 무료 지원 검사)

검사 채취 및 방법은 정상아는 생후 2~7일경에 채혈 시행(채혈용 여과지) 하며, 생후 48~72시간 , 수유 시작 후 24시간 지난 후 시행한다.

미숙아나 1개월 이상 입원한 중환자는 생후 생후 7일경에 검사하고, 약 1개월경에 재검한다.

 

 

 

아구창의 원인과 간호

원인은 분만 도중 산도를 통과할 때 산모로부터 또는 분만실에서 감염된다.

카디다 알비칸스라는 곰팡이가 원인이며 입이며 혀의 점막에 우유와 비슷한 백태가 끼고 제거 시에 출혈, 우유를 빨기 싫어하는 증상을 보인다.

간호는 1% 젠티안 바이올렛(GV)을 발라주고 뜨거운 음식을 피한다.

좋은 위생을 유지하고 우유 조제 시 무균 조작을 실시하며 젖꼭지와 젖병을 철저히 씻고 적어도 20분 이상 자비 소독하며 장난감 소독도 함께 하도록 한다.

 

미숙아의 신체적 특징

  • 매우 작고 야윈 외모와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큼
  • 피부가 적색에서 분홍색, 정맥이 보임
  • 솜털이 많고 피하지방이 적거나 없음
  • 팔꿈치, 손목, 무릎, 발목이 개구리 모양을 하고 있음
  • 손바닥과 발바닥에 주름이 적거나 없고, 귀연골의 발달 미약

미숙아 간호의 3대 목적호흡 유지, 보온(체온 유지), 감염방지이다.

 

 

 

미숙아 인큐베이터(보육기) 간호

  • 미숙아는 인큐베이터 안에서 최대의 공기를 폐로 들어가게 하기 위해서 옆으로 눕히기
  • 1~3시간 간격 자세변경(욕창 방지)
  • 인큐베이터 안에서 매일 체중 측정(의사 처방에 의함)
  • 수유시킬 때는 반좌위 자세, 수유가 다 끝난 후에는 위의 볼록한 부분이 복벽에 닿게 되면 흡인을 일으키거나 소화작용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흡인 예방 및 소화 촉진을 위하여 오른쪽으로 눕혀둔다.
  • 인큐베이터의 점검은 적어도 2시간 간격으로(수시) 체크
  • 습도 공급(기관지 분비액 건조 예방)
  • 매일 소독수를 사용하여 청소

 

 

 

태아적 아구증

  • 어머니가 RH(-) 태아 RH(-)인 경우 발생
  • 둘째 아이부터 저산소증, 심부전, 전신부종, 호흡장애 등 유발(신생아 용혈성 질환)
  • 치료- 제대 정맥을 통해 교환 수혈

초자양막증, 미숙아 망막증

  • 초자양막증(IRDS) : 폐 성숙도의 미숙으로 폐포를 팽창시키는 물질(계면활성제)이 부족하여 호흡곤란이 초래되는 질환으로 미숙아에게 호발 된다. 사망률이 높으며 신생아의 대표적인 질환
  • 미숙아 망막증 : 체중 1,500g 이하, 재태기간 5~7개월 미숙아에게 호발, 눈을 멀게 하는 질환으로 고농도 산소를 장기간 흡인한 경우 발생하며 산소의 과잉공급을 막아야 한다.

임균성 안염

  • 분만할 때 산도 내에서 임균에 감염된 경우 출생 2~3일경 발병
  • 안검 결막의 발적, 종창, 통증 유발
  • 치료- 질산은 액, 테트라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연고 사용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