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의 지식

호흡·비뇨·순환기계 수술 후 합병증과 예방간호(무기폐, 기관지염, 폐렴, 늑막염, 폐색전증, 조기이상, 활력징후, 외과적무균술, 침상안정, 요감염, 방광팽만, 쇼크, 배뇨량, 혈전성..

by ◐▨※¿┫∮¤Ω 2022. 1. 22.

호흡·비뇨·순환기계 수술 후 합병증과 예방 간호(무기폐, 기관지염, 폐렴, 늑막염, 폐색전증, 조기 이상, 활력징후, 외과적 무균술, 침상안정, 요 감염, 방광 팽만, 쇼크, 배뇨량, 혈전성 정맥염, 장폐색증, 비위관, 청색증, 흉통, 압통, 삼출물, 작열감, 가래-객담, 앙와위, 반좌위, 측위)

 

가슴-통증-사진

 

 수술 후 환자 간호는 환자가 마취에서 깨어나도록 돕고 수술 후 합병증(예- 페렴, 무기폐 등)을 예방하여 회복시키기 위함이다. 수술 직후 금색해야 할 환자가 갈증을 호소하는 경우 입술에 젖은 거즈를 대어 준다.

 

수술 후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령, 비만 정도, 영양 상태, 비뇨기 상태, 심리적 상태, 탈수 상태, 검사 결과, 수술 전 감염 정도

 

 

 

수술 후 무의식 환자의 머리를 한쪽으로 돌려 눕히는 이유분비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

 

마취 회복기의 환자 간호
  • 마취에서 회복된 후 폐와 순환기의 합병증 예방과 객담 배출을 위해서는 환자에게 심호흡과 기침 격려
  • 구토 증상이 있으면 고개를 옆으로 돌려(측위) 질식을 예방하고 턱을 앞으로 당겨줌
  • 자세는 의식이 회복될 때까지 앙와위 유지 → 의식 회복 후 반좌위로 자세 변경
  • 2시간마다 자세 변경 → 욕창 예방, 편안함 제공, 폐합병증 예방, 혈액순환 촉진

 

 

 

 

수술 후 합병증과 예방간호

▣ 호흡기계

  • 주 합병증 : 무기폐, 기관지염, 기관지 폐렴, 대엽성 폐렴, 침강성 폐렴, 늑막염, 폐색전증
  • 증상 : 체온상승, 기침, 피 또는 고름 섞인 가래, 호흡곤란, 청색증, 흉통
  • 예방적 간호 : 자세 변경, 기침, 심호흡, 기도 유지 적당한 수분 투여, 조기 이상

▣ 환부

  • 주 합병증 : 봉합 부위 팽창, 환부 파열, 내장 돌출
  • 증상 : 농성 삼출물, 압통, 창상 부위 악취, 절개 부위 배액 증가, 체온 상승
  • 예방적 간호 : 활력징후 측정, 드레싱 시 외과적 무균술 적용, 적절한 영양, 절개 부위 지지, 침상 안정

 

 

 

 

▣ 비뇨기계

  • 주 합병증 : 요정체, 요 감염
  • 증상 : 빈뇨, 배뇨 곤란, 방광 팽만, 불안감 고조, 배뇨 시 작열감
  • 예방적 간호 : 섭취량과 배설량의 정확한 측정, 배뇨 촉진 방법, 적절한 수분 섭취, 조기 이상, 항생제 투여

▣ 순환기계

  • 주 합병증 : 쇼크, 혈전성 정맥염, 혈전, 색전
  • 증상 : 빠르고 약한 맥박과 호흡, 차고 축축한 피부, 창백, 배뇨량 감소, 산소 분압 저하, 의식 상태 변화, 쑤시고 조이는 통증, 정맥이 딱딱해지고 종아리 불편감, 가벼운 열, 오한, 발한
  • 예방적 간호 : 증상의 조기 파악이 중요, 조기 이상, 다리 운동, 항 색전용 스타킹 착용, 적당한 수분 섭취

▣ 위장관계

  • 주 합병증 : 장폐색증
  • 증상 : 심한 복부 통증, 복부 팽만, 오심과 구토
  • 예방적 간호 : 비위관 삽입, 흡인기 연결, 정맥 주입
반응형

댓글